Deep Learning
-
[CHAPTER 3] 연산자Deep Learning/인공지능 입문 코딩 2021. 5. 15. 15:12
할당 연산자 '=' 대입 연산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 연산자의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 >>> x = 100 + 200 # x에 100 + 200의 결과를 할당 >>> x 300 다중 할당문 여러개의 변수에 동일한 값을 할당 >>> x = y = 100 >>> x 100 >>> y 100 동시 할당문 여러개의 변수에 여러 값을 할당 >>> x, y = 100, 200 >>> x 100 >>> y 200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을 하는 연산자 연산자 기호 덧셈 + 뺄셈 - 곱셈 * 지수 ** 나눗셈(정수) / 나눗셈(실수) // 나머지 % 다음은 산술 연산자의 사용 예시이다. >>> 1+2 # 덧셈 3 >>> 3-3 # 뺄셈 0 >>> 3*5 # 곱셈 15 >>> 3**2 # 제곱 9 >>> 5//2..
-
[CHAPTER 2] 변수Deep Learning/인공지능 입문 코딩 2021. 5. 14. 12:22
변수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이는 것. 아래 그림과 같이 상자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상자에 저장된 값은 수시로 바꿀 수 있다. 변수의 사용법 예를 들어 몸무게를 저장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한다. 이때, 변수명은 의미 있게 지어주는 게 좋다. 여기서는 몸무게를 뜻하는 weight를 변수명으로 지었다. >>> weight = 70.1 >>> weight 70.1 weight = 70.1에서 weight의 변수에 70.1의 값을 할당한다. '=' 기호는 할당연산자, 대입 연산자라고 한다.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weight라는 이름의 변수에 저장하라'는 의미이다. 아래와 같이 변수의 값을 바꿀 수도 있다. >>> weight = 70.1 >>> weigth = 65.5 >>> weigth 6..
-
엔트로피Deep Learning/밑딥1 2021. 5. 7. 03:56
엔트로피의 정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값 예제 1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올 확률 : p 뒷면이 나올 확률 : 1-p 이때의 엔트로피 값은 p= 1/2 일 때, H(X) = 1 p= 1 일 때, H(x) = 0 무조건 앞면이 나온다는 뜻이므로 불확실성이 없다는 뜻! 예제 2 a, b, c, d가 적힌 카드 4장을 들고 있다 그 확률이다 엔트로피 기댓값 a 들고 있니? (질문 개수 : 1) b 들고 있니? (질문 갯수 : 2) c 들고 있니? or d 들고 있니? (질문 개수: 3) 엔트로피 = 기댓값 이유는 나중에 배운다는뎀.. p가 0, 1일 때, 즉 동전이 무조건 앞면 또는 뒷면이 나올 때, 불확실성(엔트로피) 값은 0이다 p가 1/2일 때, 불확실성(엔트로피) 값은 가장 커진다. 균등 분포일 때 엔트로..
-
[CHAPTER 1] 데이터 과학과 파이썬Deep Learning/인공지능 입문 코딩 2021. 5. 4. 01:52
데이터 과학 데이터에서 과학적 방법으로 정보나 지식을 추출하는 학문이다. 데이터 과학은 무엇을 다루나 2010년대, 서울시는 심야 버스 노선을 새로 조정하기 위해 택시 승하차 정보와 이동 통신사의 통화량 데이터를 사용 이런 데이터를 분석하면 심야 시간에 시민들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빅 데이터를 활용한 공공 정책 결정의 예 (전주시) 교통카드 DB를 활용한 대중교통 현황 빅데이터 분석 (부산광역시) 역세권 토지이용 구항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국토부, LH) 개발 공장과 계획입지 간의 상관성 분석 (소방청) 빅데이터를 활용한 화재 대응 취약지역 분석 (식품의약품 안전처) HACCP 인증과 식품 안전사고 상관분석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의료 이용 지도 구축 데이터 처리 과정과 관련 전문가..
-
퍼셉트론Deep Learning/밑딥1 2021. 5. 4. 00:20
인간은 어떻게 생각하나? Dendrite : 이웃 뉴런에서 전기 신호를 받는다. Synapse : 다른 뉴런과 Dendrite의 연결 부위에 있다. 전기 신호의 세기를 재조정한다. Cell body(Soma) : Dendrite로부터 받은 여러 전기신호들을 모두 합친다. Axon : Soma의 전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이웃 뉴런으로 전기 신호를 보낸다. 퍼셉트론 Frank Rosenblatt가 1957년에고안한 알고리즘 신경망(딥러닝)의 기원이 되는 알고리즘 퍼셉트론이란? 다수의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x : 입력 w : 가중치 (각 신호가 결과에 주는 영향력을 조정하는 요소) y : 출력 원은 노드 또는 뉴런이라고 부른다. 뉴런에서 보내온 신호의 총합이 정해진 한계를 넘어설 때만..